이런 생각 저런 상상/1000자 칼럼

[100일 글쓰기 7일] 이미 역사의 심판을 받았다

씨알소리 2024. 3. 30. 23:02
반응형

지금은 파묘의 열풍에 사그라들긴 했지만 얼마 전 이승만 찬양 영화가 상영되어 어쩌고저쩌고 말들이 많았다.

세상이 거꾸로 가도 한참 거꾸로 간다. '어쩌다 대한민국이 이렇게까지 되었나.'하는 탄식이 절로 나왔다. 역사 교사였던 사람으로서 부끄러움이 앞섰다. 내가 제대로 가르치지 못한 탓인듯하여 부끄러웠다. 그들은 어디서 그런 역사를 배워 그렇게 자신들이 잘못 알고 있는 내용을 사실이라고 확신하고 있는 것일까?

나는 그 영화를 보지 않았다. 역사를 잘 알고 연구하는 분들의 영화 평을 들었다. 그분들의 말을 들어보니 묘하게 짜깁기하여 부정적인 사실을 빼버리는 방식으로 사실을 왜곡하고 있다는 것을 알았다. 그럴 것이라고 추측하고 있었는데 사실인 것 같다.

정치인은 공과 과를 다 평가하여야 한다는 어처구니없는 말을 되풀이한다. 그러나 정치인의 과가 지나쳐 당대의 국민들로부터 쫓겨난 정도라면 앞의 공이 얼마나 있는지 몰라도 그 평가는 이미 끝난 것이 아닐까?

이런 영화를 만든 사람이 역사학자들이 연구한 것보다 더 뛰어난 역사가일까? 절대 그렇지는 않을 것이다. 얼마 전 자기 아내를 구타하고 몹쓸 짓을 하다 외국에서 갑자기 죽은 어떤 옛 코미디언이 이 영화를 만든다고 떠들며 돌아다닌 것을 기억하는데, 그 정도 수준의 인간이 뭘 믿고 나섰는지는 모르지만 그런 사람이 오랜 연구를 한 역사가의 수준을 넘어서지는 못할 것이라고 확신한다.

이제 권력 주변에 반역사적 인식을 가진 것으로 보이는 사람들이 모여들면서 진짜 독립운동가들을 폄하하고 이승만과 친일 부역자들을 부활시키려는 불순한 의도가 보인다. 그들의 말대로라면 여태까지 이승만에 관한 사실들이 모두 엉터리였다는 것인데 어떻게 거짓말이 몇 십 년을 올 수 있겠는가? 그 당시의 사실 자체를 부정하고 새로운 사실을 내놓는다면 모를까 단지 정부 수립 당시에 첫 대통령이란 이유로 그 뒤 어떻게 했든지 간에 훌륭한 사람이라고 숭상해야 한다는 억지가 이 시대의 어느 당의 정치인들에게 먹혀 들어간다는 사실이 참 암담할 뿐이다.

 

심지어 미군으로부터 돌려받아 시민 공원으로 조성된 경복궁 바로 옆 그 땅에 독재자 이승만의 동상을 세울 계획이라고 서울시장이 버젓이 이야기하고 있고 정부의 지원금으로 이승만 기념관을 만든다고 설치는 꼴들을 보면 참 기가 막힐 노릇이다. 차라리 자신있으면 광화문 광장에 아직 자리가 좀 남아 있는 것 같은데 거기 세우면 어떨까? 

지금 그렇게 떠드는 사람들은 이승만이 대통령이었던 시절을 살아보지도 않았는데 어떻게 그렇게 눈으로 본 듯 확신하고 있을까? 참 불가사의하다. 직접 당시를 겪었던 사람들의 이야기를 제대로 들어나 봤는지 모르겠다. 4.19 세대들이 나이 들어 많이 돌아가시고 나니 그때를 힘 있게 증언해 줄 분들이 많이 안 계시는 틈을 타서 참으로 희한한 반역사가 진행되는 것 같다.

이제 나이 70이 되어가는 우리도 의식하지 못하는 어린 시절이었지만 자라면서 그 시대를 견디지 못하여 4.19혁명 때 거리에 나섰던 경험 있는 선생님들로부터 생생하게 그 경험담을 직접 듣기라도 했는데 더 어린 저들은 뭘 알고서나 말하는지 참 암담하다. 이러한 반역사적인 행위는 4.19 때 거리에 나섰거나 희생된 영령들을 모독하는 것이다.

헌법 전문에 4.19가 있는 한 이승만의 평가는 독립운동가나 건국 대통령이라는 평가보다 독재자란 평가가 맞는다고 생각한다. 이승만의 독립운동이란 것도 좀 더 따져봐야 할 것이 많다는 주장도 있는데 그건 차치하고라도 이승만의 부활 운운하는 것은 아니지 싶다.

이승만 우상화를 꾀하는 꼴로 봐서는 곧 헌법도 고치자는 얘기가 나올 것 같다. 그래, 차라리 헌법부터 고쳐라. 그러고 나서 이승만 우상화를 시작하라고 권하고 싶다. 학문으로 다루어야 할 부분을 이렇게 정치적으로 이용하는 것 또한 잘못된 것이라고 본다.

하도 답답하여 오래전이긴 하지만 당시 한국일보의 서화숙 기자분만큼 이승만에 대한 평가를 정확하고 야무지게 한 분을 보지 못한 것 같다. 예전에 한 번쯤 본 영상이겠지만 다시 한번 보시고 비교하여 생각해 보았으면 좋겠다.

 

 

https://youtu.be/tKDVHmud5Dw?si=FXaisdl9dqTa5Hcl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