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360도 사진으로 기록한 여행/인천.경기9 18/02/08 `인천 내리교회 인천 내리교회 내리교회 내리(內里) 교회는 한국 최초의 감리교 내한 주재 선교사 헨리 아펜젤러(Henry G.Appenzeller/亞扁薛羅, 1858∼1902) 부부가 1885년 4월 5일 오후 3시, 때마침 부슬부슬 봄비가 내리는 제물포 항에 내림으로써 시작된 한국 개신교회의 어머니 교회들 가운데 하나이다. 숱한 역사적 흔적들이 고스란히 간직된 유서깊은 교회 중 한곳이다. 무엇보다도 1888년 약관(弱冠)의 나이 스무 살에 한국에 들어와 인천에서 11년간 체류한 조지 존스(George H. Jones/趙元時, 1867∼1919) 선교사가 서해권 선교(인천 강화 해주 연안 남양) 활동의 전진기지 역할을 한 얼이 서려 있고, 역사적 발자취가 남아 있는 현장이다. 존스의 주선으로 1903년에 하와이로 건너간.. 2018. 3. 21. 18/02/08 인천 한국 기독교 100주년 기념탑 - insta360air 360도 사진 한국 기독교 100주년 기념탑 인천 중구 중앙동1가 18에 있는 '한국 기독교 100주년 기념탑' 전철 1호선 인천 제물포역에서 가깝다. 이 탑은 1986년 기독교 선교 100주년을 맞아 아펜젤러와 언더우드 선교사가 제물포항에 내린 것을 기념해 만든 조형물이다. 높이 17m의 탑으로 2.7m 높이의 3인 청동상, 3개의 탑신, 6면의 부조 및 원형의 석조 계단으로 이루어져 있다. 아펜젤러 선교사 부부와 언더우드 선교사의 모습으로 보이는 청동상 밑에는 제물포항에 내린 아펜젤러 선교사의 기도문이 새겨져 있다. 2018. 3. 21. 18/01/20 가톨릭 미리내 성지 김대건 신부 묘소 가톨릭 미리내 성지 김대건 신부 묘소 미리내 성지(美里川聖地) 경기도 안성시 양성면 미리내성지로 420에 위치한 한국 천주교회의 사적지로, 본래 경기도 광주, 시흥, 용인, 양평, 화성, 안성 일대 등 초기 천주교 선교지역을 이루던 곳의 하나이며, 한국 최초의 사제 김대건 신부의 묘소와 그의 어머니 고 우르슬라, 김 신부에게 사제품을 준 조선 교구 제3대 교구장 페레올 주교 그리고 김대건 신부의 시신을 이곳에 안장했던 이민식 빈첸시오 외에도 이름 없는 16명의 천주교 순교자들이 모셔져 있는 곳이다. 성지의 이름인 미리내는 한국의 고유어(순 우리말)로 은하수라는 뜻이다. 이 성지에 미리내라는 이름이 붙게 된 이유는 천주교 신자들이 피운 불빛이 한 밤중에 보면 은하수처럼 보인다는 것 때문이었다. 행정구역상으.. 2018. 3. 21. 170429 포천향교와 구읍리 석불입상 2017. 5. 1. 170429 홍인레오 순교현양비와 순교터 포천성당 근처에 있는 홍인레오 순교터와 순교현양비를 둘러보고 감옥터를 다녀왔다. 현재 구읍리 주민센터 뒤쪽 산에 있는 감옥터에는 팻말이 없어져 정확한 위치를 알 수가 없게 되어 있었다. 홍인(洪鏔) 레오 (1758년~1802년) 홍인(洪鏔) 레오의 집안은 본래 한양의 이름 있는 집안이었으나, 그의 부친이 경기도 포천으로 이주하였기 때문에 그곳에서 성장하였다. 1801년 한양에서 순교한 홍교만(프란치스코 하비에르)이 바로 그의 부친이다. 레오의 가족이 천주교 신앙을 접하게 된 것은 1791년경 그의 부친이 양근 땅에 살던 고종 사촌 권일신(프란치스코 하비에르)으로부터 교리를 배우면서였다. 이후 레오는 부친에게서 교리를 배웠는데, 오히려 부친보다 먼저 천주교 신앙을 진리로 이해하고 받아들이게 되었다. 천주교.. 2017. 5. 1. 170429 구 포천성당 구 포천성당 구 포천성당은 등록문화재 제271호. 1955년 무렵에 건립. 육군 6군단이 지은 성당이다. 1990년 화재로 목조 마루바닥과 지붕틀 등이 소실되긴 하였으나 한국전쟁 직후에 건축된 석조 성당의 전형적인 의장적 특징(종탑과 뾰족한 아치 창호)과 공간적 특징(단일 홀로 구성된 강당형 평면), 화강석 조적구법의 특징을 잘 간직하고 있다. 한국전쟁 이후 많은 교회 건물을 석조로 세웠지만 포천성당은 군부대가 직접 세운 것 중 유일하게 남아있는 건물이다. 어제 갔을 때는 화재로 불탄 지붕을 다시 만들고 있었다. 석조물만 남아있는 성당터로서의 문화재 보존도 의미있지 않을까 하는 생각이 들기도 했다. 공사전 구 포천성당 모습 2017. 5. 1. 이전 1 2 다음 반응형